본문 바로가기

분석심리이론2

인간성격 - 2. 분석심리이론(2) - 주요 개념 및 관점 4. 아니마와 아니무스 아니마와 아니무스는 남성과 여성의 다른 내적 성격을 나타내며, 집단무의식의 매개체로 작용한다. 남성과 여성은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차이를 갖고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한다. 이런 사회적 요구에 따라 남성과 여성의 내적 성격이 무의식에 형성되며, 남성의 무의식엔 여성적 성격이, 여성의 무의식엔 남성적 성격이 나타난다. 남성 정신의 여성적 측면은 아니마, 여성 정신의 남성적 측면은 아니무스라고 한다. 남성은 이성 기반으로 잠재된 사랑을, 여성은 사랑 기반으로 잠재된 이성을 개발해야 성숙한 인간이 될 수 있다. 이때 성격 사이의 조화와 균형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남성과 여성의 다면적인 성격이 의식과 행동에 잘 나타날 것이다. 그러나 문화적 태도와 성 역할에 따라 남성과 여성은 동성.. 2023. 7. 26.
인간성격 - 2. 분석심리이론(1) - 주요 개념 Ⅰ. 인간관과 기본가정 인간을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바라보고 의식과 무의식의 대립을 통합해 전체적 존재로 간주한다. 인간은 역사적이고 미래지향적으로, 과거의 영향을 받으며 현재를 살아가고 미래의 목표와 가능성을 향해 노력한다. 이 미래 지향성은 성장 지향적 존재와 연결되며, 융은 인간이 완성과 자기실현을 향한 경향을 지닌다고 본다. 인간은 자신의 잠재 능력을 발휘하려는 성향을 갖고 있으며, 아들러의 우월 추구와 유사한 관점이다. 융은 프로이트와 달리 인간을 가변적 존재로 보며, 조상들로부터 물려받은 정신적 소인이 개인의 개성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고 본다. 인간의 정신 구조는 삶의 과정에서 후천적 변화가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Ⅱ. 주요 개념 1. 의식, 자아와 페르소나.. 2023. 7. 26.